목록전체 글 (104)
UD_park's IT story
이번 포스팅에서는 쉬운 듯 쉽지않은 말, Cach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캐시(Cache)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기억 장치에 읽어들인 명령이나 프로그램들로 채워지는 버퍼 형태의 고속 기억 장치. 주기억 장치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고속 버퍼 메모리이다.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또는 로컬 메모리(Local Memory)라고도 한다. 기억 용량(Memory Capacity)은 적지만 주기억 장치에 비해 고속이며 액세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중앙 처리 장치가 명령이 필요하게 되면, 맨 먼저 액세스하는 것은 주 기억 장치가 아니라 캐시 메모리인 셈이다.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
이번 포스팅에서는 IT 관련 자격증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각 각의 자세한 정보는 제 블로그의 각 자격증에 대한 포스팅이나, 검색을 통하여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IT 관련된 자격증 소개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격증에 대한 영향력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① 정보처리기사 / 정보처리산업기사 ② 정보보안기사 / 정보보안산업기사 ③ 리눅스마스터 1급 / 리눅스마스터 2급 ④네트워크 관리사 1급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위와 같이 국내 자격증들이 존재합니다. 그럼 한 가지 간단한 설명을 시작으로 각 자격증에 대해서 아주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사 vs 산업기사 기사와 산업기사의 차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기사 >>>..
이번 포스팅은 Linux 명령어인 alia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정의와 함께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옵션을 포함한 긴 명령어를 자주 사용한다면, 매번 입력하지 않고 짧은 문자열로 바꿔주는 alias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터미널에서 rm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을 삭제할 때, 파일을 지울 것인지를 다시 물어보는 옵션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rm 명령어가 이 옵션을 이미 사용하고 있다. 또한 ls 명령어를 이용해 파일 목록을 보았을 때 색으로 구분되는 것은 시스템 환경에서 미리 alias로 해당 옵션을 예약해 놓았기 때문이다. 셸은 내부 명령어 alias와 unalias를 이용하여 단축 명령어를 목록에 추가하고 삭제한다. 어떠한 명령어가 입력되면 이 명령어의 앞부분부터 문자열과 일치하는 ..
이번 포스팅은 Linux 명령어인 echo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cho 명령어에 대한 정의를 시작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cho는 지정한 문자열을 출력하는 명령어로, 문자열과 함께 개행 문자를 덧붙여 출력한다. 이는 셸에서 자체적으로 포함하는 내부 환경 변수를 확인할 경우 주로 사용한다. 간단한 설명으로 말씀드리자면, 시스템의 환경 변수 또는 입력 내용을 화면에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 기본 문법과 옵션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cho [옵션] [문자열] 옵션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n : 마지막에 따라오는 개행 문자(newline) 문자를 출력 하지 않는다. -e : 문자열에서 역슬래시(\)와 조합되는 이스케이프 문자 (escape sequence)를 인용 부호(")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명령어인 unam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정의와 함께 설명을 시작해보겠습니다. uname은 시스템애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만일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s 옵션과 동일하게 커널 이름을 출력한다. $ uname Linux -a 옵션은 시스템의 전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uname -a Linux ubuntu 2.6.32-23-generic #37-ubuntu SMP Fri Jun 11 07:54:58 UTC 2010 i686 GNU/Linux 위의 내용을 정리한 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필드 내용 설명 Linux 커널 이름이다. ubuntu: 네트워크 호스트명이다. 2.6.32-23-generic 커널 릴리즈 번호이다. #37-Ubuntu SMP Fr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