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05)
UD_park's IT story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명령어인 unam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정의와 함께 설명을 시작해보겠습니다. uname은 시스템애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만일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s 옵션과 동일하게 커널 이름을 출력한다. $ uname Linux -a 옵션은 시스템의 전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uname -a Linux ubuntu 2.6.32-23-generic #37-ubuntu SMP Fri Jun 11 07:54:58 UTC 2010 i686 GNU/Linux 위의 내용을 정리한 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필드 내용 설명 Linux 커널 이름이다. ubuntu: 네트워크 호스트명이다. 2.6.32-23-generic 커널 릴리즈 번호이다. #37-Ubuntu SMP Fri ..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명령어인 netstat에 대해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의를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netstat 명령어는 네트워킹과 연결된 시스템의 정보를 출력한다. 만약 인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외부에 열려 있는 모든 소켓의 정보를 출력한다. 쉽게 말하자면, 네트워크 연결과 포트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그럼 netstat의 기본 문법과 옵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etstat [-vWeenNcCF] [] -r netstat {-V|--version|-h]--help} netstat [-nWnNcaeol] [ ...] netstat {[-vWeenNac] -i | [-cWnNe] -M | -s} 첫 번째 인자 -r : 라우팅 테이블을 출력합니다. -i : 인터페이스 ..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리눅스 자격증인 리눅스 마스터 1급과 2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간단하게 1급과 2급의 차이점은 쉽게 말하자면 난이도 차이입니다. 2급을 따지않으셔도 1급 시험을 치르실 수 있으나, 문제의 난이도가 건너뛰기엔 상당한 전문지식을 요구합니다. 즉, 난이도 때문에 1급과 2급을 나눈 것과 같습니다. 마치 한자 자격증 급수가 똑같이 한자만 외우면 되지만 1급과 2급 시험문제 수준이 차이가 나는 것과 마찬가지일거라고 생각됩니다. 아래의 정보와 설명을 하기 전에 한 가지 당부를 드리자면, [WARNING] 아래의 정보 중에서 시험 일정은 평균적이고 대략적인 날짜이므로, 꼭 치르실 시험에 대해 다시 한번 더 자세히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그럼 가볍게 1. 응시 자격 2. 시험 과..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명령어인 les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less의 정의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ess 명령어는 more 명령오와 같이 페이지 단위로 파일이나 화면으로 출력한다. more 명령어와 달리 검색과 검색된 키워드로 이동하는 등의 기능이 있다. 요약해서 간략하게 설명을 덧붙이자면, 파일의 내용을 화면의 단위인 페이지로 출력해 보여주는 기능을 가집니다. 그럼 less의 기본 문법과 옵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ess [옵션] [파일이름] 위에서 보이는 형태가 바로 less 명령어의 기본 문법이자 형태입니다. 그럼 이 문법에서 옵션 칸에 들어갈 다양한 옵션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a : 마지막 줄이 화면에 나타나고나서 탐색을 시작합니다. -c : 필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의 명령어인 tail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tail의 정의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tail 명령어는 문서의 마지막 행부터 지정한 행까지의 파일 내용을 출력한다. 기본값으로 파일의 마지막 10행을 출력한다. 참고로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앞 부분을 출력한다.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cat, more, less 등과 달리 tail은 최근 기록된 로그 파일과 같이 마지막 행을 보고 싶을 때 유용하게 쓰이고있다. 이렇게 위의 설명과 같이 tail은 파일의 마지막 줄을 기준으로 지정한 줄까지의 파일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tail의 기본 문법과 옵션에 대해서 계속 알아가보도록 하겠습니다. tail의 기본 문법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tail [옵션] 파일이..